반응형

전체 글 287

2025년 초복, 중복, 말복 날짜와 보양식 총정리

2025년 삼복날 정확한 날짜초복: 7월 20일 (음력 6월 26일) 일요일 경인일(庚寅日) 중복: 7월 30일 (음력 6월 6일)수요일 경자일(庚子日) 말복: 8월 9일(음력 6월 16일) 토요일 경술일(庚戌日) 삼복날이 정해지는 방식삼복은 하지(夏至) 후 세 번째 '경일(庚日)'이 초복, 그다음 네 번째 경일이 중복, 그리고 입추 후 첫 번째 경일이 말복으로정해집니다. 즉, 천간(十干)의 ‘경(庚)’에 해당하는 날이 기준입니다. 그래서 매년삼복 날짜는 달라지며, 양력으로 보면 보통 7월 중순~8월 중순 사이입니다. 삼복날의 전설과 유래◆유래삼복은 중국 주나라 시절 천문과 음양오행 사상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서(漢書)에 따르면, 가장 더운 시기를 '삼복'이라 불렀으며, 이는 음양오행에서 여름의 불 기운..

살며 생각하며 2025.07.09

2025년 백중기도(百中祈禱)의 기간과 의미

불교에서 말하는 백중일(百中日)은 음력 7월 15일, 즉 우란분절(盂蘭盆節)을 뜻하며, 조상과 부모, 영가(亡者)를 위해 지내는 기도와 재(齋)의 날입니다.이는 우리나라 불교와 민간신앙에서 “조상의 극락왕생”과 “현재 가족의 복덕 증장”을 기원하는 중요한 명절입니다.49일 동안 7일마다 지내는 재의식, 제7재가 백중과 겹침 백중일은 언제?날짜: 음력 7월 15일2025년 백중일: 양력 2025년 8월 8일 (금요일) 백중기도(百中祈禱)의 의미한자 의미‘百中’은 원래 백가지 중에서 가장 중요한 날이라는 의미로도 해석됨.또한 “우란분(盂蘭盆)”은 산스크리트어 “울람바나(Ullambana)”, 즉 거꾸로 매달린 고통을 뜻함 불교의 의미고통받는 조상 영혼(영가)을 위해 기도·공양·재를 올리는 날조상의 악업을 참..

불교공부 2025.07.06

제행무상諸行無常

“제행무상(諸行無常)”은 불교에서 매우 핵심적인가르침 중 하나로, 모든 존재와 현상은 항상 변화하며, 영원히 지속되는 것은 없다는 진리를 뜻합니다. 이 네 글자는 그 자체로도 깊은 철학을 담고 있고, 인생을 관조하는 데 매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제행무상의 뜻제(諸): 모든행(行): 조건 지어진 것들, 현상 세계의 모든 움직이는 작용무상(無常): 영원하지 않음, 항상 변함즉, “모든 조건 지어진 것들은 변한다"라는 뜻입니다. 부처님 말씀 중 제행무상불교 경전인 《법구경(法句經)》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제행무상(諸行無常), 이것은 생하고 멸하는법이다. 생하고 멸하는 것이 멸하면 진정한 고요함이 있다." 이 말은 곧 “모든 것은 생겨나고 사라진다. 그 무상함을 받아들일 때, 진정한 평화(열반)를..

살며 생각하며 2025.07.04

현대인들의 무기력 증상과 극복 방법

현대인의 병이라 불릴 만큼 많은 사람들이겪고 있는 무기력증(Apathy, Lethargy,Anhedonia)은 단순한 ‘피곤함’이나‘게으름’과는 다른, 심리적·신체적·사회적 문제로 얽혀 있는 복합적인 증상입니다. 무기력증이란?무기력증은 의욕이 없고 아무것도 하기 싫은 상태가 지속되는 증상으로, 정신적에너지 고갈, 신체 피로, 감정 둔화 등이특징입니다. 아무리 쉬어도 피로가 해소되지 않고,관심을 가졌던 일에도 흥미가 떨어지며,일상 활동조차 버겁게 느껴집니다.원인심리적 요인우울증, 불안장애: 대표적인 원인.무기력은 우울의 핵심 증상 중 하나입니다. 번아웃 증후군: 과도한 업무와 스트레스에장기간 노출되었을 때 발생 무의미감, 삶의 목적 상실: 현대인에게 흔한‘실존적 공허감’ 외상 후 스트레스(PTSD) 신체..

살며 생각하며 2025.07.01

사주 무료 상담 이벤트 (2025년 7월 1일~ 31일)

구독자분들 중에서 [지상 철학원] 직접 방문하시면 사주 무료상담 해드립니다. 상담자 본인은 20년 상담 경력이며공부와 기도 명상 수행을 해 온 사람으로서내담자의 생년월일을 기반으로 논리적인상담을 해드립니다. 상담시간은 15분에서 20분 핵심정리해드립니다. 주말이나 공휴일을 피해서 평일에 오시면편안하게 자세한 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행사기간: 2026년 7월 1일~7월 31일🍀주소: 전주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은행로 81 (지상 철학원)🍀무료 상담 자격:블로그명: 지상 철학원 (블로그 닉네임: 이모미모) 티스토리를 구독 신청하신 본인🍀상담 시간: 오전 11시~ 오후 7시🍀예약 필수: 010-2273-0035(문자 예약)🍀문자 예약: 본인 성명과 티스토리에..

상담 2025.06.25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 하지(夏至)

하지(夏至, Summer Solstice)는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로, 일 년 중 낮이 가장 긴 날입니다. 태양이 가장 북쪽에 위치하면서 북반구에서는 일조 시간이 극대화됩니다.​하지 개요한자: 夏至 (여름 하, 이를 지)양력 날짜: 매년 6월 21일경 (2025년은 6월 21일)태양 황경: 약 90도계절 위치: 여름의 중심부로,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시기낮의 길이: 북반구에서 1년 중 가장 긴 낮, 가장 짧은 밤전통과 문화농경 문화와 하지벼농사를 짓는 지역에서는 모내기를 마무리하고 논매기(잡초 제거) 시기가 시작됨.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농번기에 접어들며 매우 바쁜 시기.​하지 풍속하지 자체에는 큰 명절이나 축제는 없지만, 지역에 따라 하지 팥죽을 먹거나 잡귀를 쫓는풍습이 있음.양기가 극성..

상식과 지식 2025.06.21

거제도 노자산~ 가라산~ 몽돌해수욕장 등산 코스

거제도의 노자산 펜션~ 노자산~ 가라산~저구 사거리~학동 몽돌해수욕장 코스는 아름다운 해안 풍경과 울창한 숲길이 어우러진 장거리 종주 코스로, 자연과 바다, 산의 매력을 모두 느낄 수 있는 환상적인 트레킹 코스입니다. 코스 개요출발지: 노자산 펜션경유: 노자산 → 가라산 → 저구 사거리도착지: 학동 몽돌해수욕장거리: 약 10~13km소요 시간: 약 5~7시간 (개인 체력에 따라)난이도: 중~상급구간별 장점과 볼거리노자산 펜션 ~ 노자산 정상 (565m)장점:비교적 완만한 초입으로 워밍업에 적당울창한 소나무 숲과 숲길이 쾌적함볼거리:정상 부근의 탁 트인 전망대에서 한려해상 국립공원의 바다 전망봄철 진달래, 가을 단풍이 아름다움거제 시내와 남해 바다, 외도·해금강까지 조망 가능노자산 ~ 가라산 (585m, ..

소소한 일상 2025.06.17

금강경(金剛經)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문장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은 불교 경전인 『금강경(金剛經)』의 마지막 구절로 매우 유명한 말입니다. 이 문장은 세상의 모든현상(諸行無常)이 덧없고 무상함을 나타내는 비유적인 표현입니다.​원문 해석전체 문장은 『금강경』에서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一 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일체 유위법(一切 有爲法):세상 모든 인연(因緣) 따라 생겨난 존재들, 즉 만들어지고 변하는 모든 현상여몽환포영(如夢幻泡影):꿈, 환상, 물거품, 그림자와 같다여로역여전(如露亦如電):이슬 같고 또한 번개와 같다응작여시관(應作如是觀):이와 같이 보아야 한다.​단어 풀이 및 이미지여몽(如夢)꿈처럼 – 실재하는 것 같지만 실체가 없는 상태​환(幻)환영처럼 –..

불교공부 2025.06.12

노자의 도덕경(道德經) 제1장

중국 도가 철학의 시조인 노자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도가서. 『노자』 또는 『노자도덕경』이라고도 한다. 약 5,000자, 81장으로 되어있으며, 상편 37장의 내용을 「도경(道經)」, 하편 44장의 내용을 「덕경(德經)」이라고합니다.​노자의 도덕경 제1장은 도가(道家) 사상의 핵심 개념인 "도(道)"에 대한 철학적 고찰로, 전체 책의 서론이자 핵심 원리를 담고 있는 매우 중요한 구절입니다. 노자의 가르침 중에 도덕경의 핵심인 도에 대한 내용을 공부해 봅니다.도덕경 제1장 원문 (한문과 한글 번역)​道可道,非常道。名可名,非常名。無名天地之始;有名萬物之母。故常無,欲以觀其妙;常有,欲以觀其徼。此兩者,同出而異名,同謂之玄。玄之又玄,眾妙之門。​해석 및 설명 "도는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도가 아니다."원문: 道可道,非常道..

철학 2025.06.11

윤달(閏月)의 개념과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

윤달(閏月)은 음력에서 사용하는 개념으로, 태양력과의 차이를 맞추기 위해 추가되는 한 달입니다. 윤달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생기고, 약 2~3년에 한 번씩 돌아옵니다.​윤달의 주기윤달은 보통 2년에서 3년 사이에 한 번씩들어옵니다.평균적으로 19년에 7번 생깁니다.이는 고대 중국의 장법(章法) 또는 윤삭법(閏朔法)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방식입니다.이 방식은 19년 동안 235개월(태음력)과228개월(태양력 기준)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것입니다.​윤달이 생기는 이유음력은 달의 주기를 기준으로 하므로, 한 해가 약 354일입니다.반면 양력은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여 365일입니다.해마다 약 11일 차이가 생기는데, 이 차이를 누적하여 약 33개월에 한 번 윤달을 넣어 계절과 음력을 맞춥니다.​ 참고윤달..

불교공부 2025.06.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