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공부

신끼의 증상

이모미모 2025. 3. 17. 16:12
반응형

신끼가 있는 사람은

두 종류가 있다.

모든 사람에게는 영(靈)이 있다.

하나는 '신끼' 또는 '靈'이라고도

하고 또 다른 하나의 신끼는

'마장(魔障)'이라고 한다.

마장이 끼면 인생을 망친다.

그 신끼를 좋게 다스리기 위하여

참선(參禪)을 하여야 한다.

참선에서 '선'이란 용어의 원류는

팔리어로 'Jhana', 범어로 'Dhyana'이다.

혼란한 마음을 고요하게 한다는 선정

(禪定)의 의미이다. 그러나 그런 바른

마음은 누구에게나 뜻하는 데로 주어지지

않는다.

선업(善業)에 따라 또는 타고난

근기(根機)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조절이

잘 안되기 때문이다. 선(禪) 수행자의

지도 아래 스스로의 참여 노력과 의학적인

도움으로 노력을 하지 않으면 힘들다고

본다.

신끼의 두 종류의

증상을 살펴 본다면

하나는 맑은 영으로써 통찰력이

있고 촉이 발달하여 자신의 삶을

예측하고 매사에 일이 잘 되고

긍정적이고 행복하다.

선한 마음으로 봉사를 하고

상대를 배려하고 더 나아가서

의로운 일에 연구하는 자세를

가지고 행복한 마음이 얼굴과

눈에 맑은 빛으로 나타난다.

 

두 번째는 잡귀, 귀신을 접해서

언행이 비정상적인 경우이다.

그 증상으로는

1. 술을 좋아하고 술이 들어가면

미친사람 처럼 흥분하거나

목소리가 달라지기도 한다.

2. 공간에 대한 좋고 안 좋고의 음한

기운을 잘 느끼고 가위에 눌리기도 한다.

3. 가족이나 친척 중에 무속인이 있다.

4. 빈방에서 나는 소리를 듣는다.

5. 공포영화를 즐긴다.

6. 먹어도 배가 안 부르고 많이 먹는데

살은 안 찌거나 반대로 먹고 싶어도

비위 상해서 못 먹는 경우가 있다.

7. 사람을 가리고 결벽증이 심하다.

8. 주위가 산만하고 변덕이 심하다.

9. 매사에 막힘이 많아서 일이 안되고

자신도 모르게 사건과 사고에 휘말린다.

10. 이득이 아닌데 충동적으로 화를 잘

내고 따지거나 피해 의식을 가진다.

11. 죽은 사람 꿈을 꾸고 예지몽을 꾼다.

12. 힘든 일은 하기 싫어하고 일시적

금전 이익은 생기나 결국 금전적

어려움을 겪는다.

13. 삶의 굴곡이 많고 예민하여 감정기복

심하고 자주 우울하거나 눈물이 많다.

14. 욕구와 욕망이 많아서 만족이 없다.

15. 여러군데 아픈데 병명이 없다.

16. 눈에 촛점이 없고 붉은 빛 또는

탁한 광채가 난다.

17. 몸을 가만 있지 않고 잘 돌아

다니거나 몸을 잘 흔든다.

18. 기도할때 하품을 자주 한다.

19. 조언이나 충고 듣는 것을 싫어 한다.

20. 거짓말을 잘 하고 시기 질투가 많고

법규를 무시한다.

21. 주색잡기(酒色雜技)에 능하거나 뭔가에

중독이 잘 된다.

22. 늘 부정적이며 안좋은 기억을 오래

간직한다. 자신의 잘못을 타고난 것

이라고 우기며 조상 탓 남 탓을 한다.

23. 비관하거나 죽고 싶을 때가 많다.

24. 공포심과 환청 또는 환각을 느낀다.

25. 무기력하여 늘어지고 잠을 많이 잔다.

등등...

 

[지상 철학원]

반응형

'불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천 해인사  (2) 2025.03.09
하동 쌍계사  (10) 2025.03.08
의상조사법성게(義湘祖師 法性偈)  (0) 2025.02.08
단청  (0) 2025.02.04
참선으로 수행하라  (0) 202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