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하(立夏)는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로,
여름이 시작됨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입하(立夏)
뜻: ‘입하(立夏)’는 ‘여름이 시작된다’는
뜻입니다. '입(立)'은 ‘서다, 시작하다’는
의미이고, '하(夏)'는 여름을 뜻합니다.
시기: 매년 5월 5일 또는 6일경, 태양의
황경이 45도에 도달할 때입니다.
계절 구분: 천문학적으로 여름의 시작으로
간주되며, 입하~망종(芒種)까지가 여름철
전반부로 분류됩니다.
입하의 자연과 기후 특징
기온이 본격적으로 올라가며 초여름의
따뜻함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남부 지방에서는 모내기 준비가 시작되고,
보리 수확도 이즈음부터 이루어집니다.
나무들이 완전히 잎을 틔우며 녹음이
짙어지고, 꽃들이 지고 푸른 잎이 무성
해지는 시기입니다.
봄과 여름의 경계선으로, 계절성
알레르기나 감기가 생기기 쉬운
환절기이기도 합니다.

농사와 생활 속 의미
입하는 농경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절기였습니다. 여름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시점으로, 논농사와 밭농사
모두 본격화됩니다.
‘보리는 입하에 베고 모는 망종에
심는다’라는 속담도 있어 농사일의
기준점으로 삼기도 했습니다.
이 시기엔 봄에 심은 작물의 성장
여부를 확인하고 병해충 예방도
시작합니다.
입하의 풍속과 음식
보리밥
보리가 익어가는 시기여서 보리밥과
보리국수를 많이 먹습니다.
더위에 대비한 체력 보충의 의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입하茶(입하차)
입하 전후 수확한 찻잎은 품질이
뛰어나며 ‘입하차’라고 하여 귀하게
여깁니다.

풍년 기원 의례
과거에는 입하를 맞아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나 고사를 지내기도 했습니다.
입하 관련 속담과 사자성어
“입하를 지나면 땀 흘릴 일만 남았다.”
→ 농사철의 본격적인 시작을 뜻합니다.
“입하에 설움 겪으면 보리밥에 된장 먹는다.”
→ 계절의 전환기에 고생하는 사람은
그 시기를 잘 넘기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뜻.
입하 3후
(三候: 5일 간격 기후 변화 묘사)
초후 (初候):
달팽이가 나오기 시작한다 (蝼蝈鳴)
중후 (二候):
지렁이가 땅 위로 올라온다 (蚯蚓出)
말후 (三候):
왕과부(큰 매미류)가 운다 (王瓜生)
→ 생물들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는 시기임을 보여주는
자연 현상입니다.
이 세 가지는 입하(立夏) 절기의
"3후(三候)"에 해당하며, 각각
입하 기간 중의 5일 간격 자연
변화를 묘사한 한자어입니다.
◆ 蝼蝈鳴 (누곽명)
한자 뜻:
蝼蝈(누곽): 매미와 비슷한 곤충,
또는 울게 되는 여름 곤충
鳴(명): 운다, 소리를 낸다
해석:
→ “누곽이 운다”, 즉 여름 곤충이
울기 시작한다
→ 자연의 기운이 바뀌어, 곤충들이
활동을 시작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 蚯蚓出 (구인출)
한자 뜻:
蚯蚓(구인): 지렁이
出(출): 나오다
해석:
→ “지렁이가 나온다”
→ 땅속이 따뜻해지면서 지렁이가
땅 위로 나오는 시기로, 토양 활동이
활발해짐을 나타냅니다.
◆ 王瓜生 (왕과생)
한자 뜻:
王瓜(왕과): 왕과는 덩굴식물의 일종으로,
참외와 비슷한 여름 열매
生(생): 싹트다, 자라나다
해석:
→ “왕과가 싹튼다”, 즉 여름 열매나
덩굴식물이 자라기 시작한다
→ 본격적인 여름 작물의 생장이 시작됨을
의미합니다.
'상식과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포좀 글루타치온(Liposomal Glutathione) 효능 (213) | 2025.05.09 |
---|---|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 vs 카르 융 (Carl Gustav Jung) 꿈에 대한 이론 (40) | 2025.05.03 |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 유심(USIM)교체 방법 (25) | 2025.04.29 |
대상포진 엄청난 통증 [건강 예방 필요성] (55) | 2025.04.24 |
꽃가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호흡기 알레르기 건강관리] (29)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