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分人以財 謂之惠
분인이재 위지혜
"남에게 재물을 나누어주는
것을 혜(惠)라 하고"
敎人以善 謂之忠
교인이선 위지충
"남에게 선을 가르치는 것을
충(忠)이라 하며"
爲天下得人者 謂之仁
위천하득인자 위지인
"천하를 위해 인재를 얻는 것을
인(仁)이라 합니다."
是故로 以天下與人 易
시고 이천하여인 이
"그런 고로 천하를 남에게
주기는 쉬어도"
爲天下得人 難
위천하득인 난
"천하를 위해서 인재를
얻기란 어려운 일입니다."
仁이라는 한자는 두 사람
(二와人)사이의 관계에서 출발
하는데 이 관계에서 나오는 사랑이
자녀에게 미치면 자(慈)가 되며,
그 사랑이 남의 자녀에 미치면
관(寬)이 되고, 나아가서 사랑이
백성에게까지 미치면 혜(惠)가
됩니다.
또한 사랑이 나라에 미치면
충(忠)이 됩니다.
자관혜충(慈寬惠忠)을 성실하게
실천하면 박애(博愛)의 정신이
살아나는데 이를 최상의 이(仁)
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결국 仁 자신과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숭고한 사랑으로 연결하여
자신의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것입니다.
'論語논어'에서도
천하 만백성을 위하여 인재를 찾아서
얻어오는 것을 仁이라 하나니,
천하를 남에게 내어주는 것은 쉽지만,
천하 만백성을 위해 뛰어난 인재를
구해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지상 철학원]
반응형
'상식과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의 행동 언어를 이해 (0) | 2025.03.03 |
---|---|
2025년 공무원 시험 일정 (2) | 2025.03.03 |
중장년층 퇴직 및 재취업 (2) | 2025.03.02 |
혈관 건강을 위한 음식 (2) | 2025.03.02 |
"자장면 데이" 유래 (0)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