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오는 날 도로 주행은 맑은 날과 비교하여
주의해야 할 사항이 많습니다. 다음과 같은
운전 방법을 적용하면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습니다.
1. 감속 운전 & 안전거리 유지
비가 오면 도로가 미끄러워지므로 제동 거리가
길어집니다. 평소보다 속도를 20~30% 줄이고,
앞차와의 거리를 1.5배 이상 유지하세요.
2. 급브레이크 & 급가속 금지
비 오는 날 급브레이크를 밟으면 차가 미끄러지는
수막현상이브레이크는
여러 번 나눠서 부드럽게 밟아야 안전합니다.
출발할 때도 급가속을 피하고 천천히 가속하세요.
3. 헤드라이트 & 미등 점등
**주간에도 전조등(헤드라이트)**을 켜세요.
비가 오면 가시거리가 짧아지므로, 내 차의
위치를 다른 차량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4. 도로 상태 확인 & 수막현상 주의
맨홀 뚜껑, 페인트 도색 구간(차선, 횡단보도),
철제 다리 위는 특히 미끄러우므로 피해서
주행하세요. 깊은 웅덩이를 지나면
**차가 뜨는 느낌(수막현상)**이들 수
있습니다. 이때는 급브레이크를 밟지
말고 핸들을 꽉 잡고 엑셀에서 발을 떼며
속도를 줄이세요.
5. 와이퍼 & 창문 관리
비가 많이 오면 와이퍼 속도를 조절해서
시야를 확보하세요. 차 안과 밖의 온도
차이로 성에나 김 서림이 발생하면 에어컨을
활용해서 제거하세요.
6. 터널 & 교량 통과 시 속도 조절
터널 진입 시 순간적으로 노면이 달라지면서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속도를 줄이세요.
다리 위는 비바람이 강하게 불어 차량이
흔들릴 수 있으므로 주의하세요.
7. 보행자 & 이륜차 주의
우산을 쓰고 있는 보행자는 차량을 잘 못 볼 수
있으니 횡단보도 근처에서 주의하세요.
오토바이, 자전거는 비 오는 날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에 더 신경 써서 운전해야 합니다.
결론:
비 오는 날은 시야가 나쁘고 도로가 미끄러우므로,
속도를 줄이고, 안전거리를 확보하며, 급한 조작을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지상 철학원]
'상식과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호자 없이 입원 가능한 병원 찾기 (2) | 2025.03.08 |
---|---|
장례 지도사 자격 취득 절차 (6) | 2025.03.08 |
발에 쥐 났을 때 해결책 (2) | 2025.03.07 |
당뇨인 무설탕 아이스크림 (0) | 2025.03.07 |
중장년층 신차 구입 선호도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