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불교공부 7

신끼의 증상

신끼가 있는 사람은 두 종류가 있다.모든 사람에게는 영(靈)이 있다.하나는 '신끼' 또는 '靈'이라고도하고 또 다른 하나의 신끼는 '마장(魔障)'이라고 한다. 마장이 끼면 인생을 망친다. 그 신끼를 좋게 다스리기 위하여 참선(參禪)을 하여야 한다.​참선에서 '선'이란 용어의 원류는팔리어로 'Jhana', 범어로 'Dhyana'이다.혼란한 마음을 고요하게 한다는 선정(禪定)의 의미이다. 그러나 그런 바른마음은 누구에게나 뜻하는 데로 주어지지않는다. ​선업(善業)에 따라 또는 타고난근기(根機)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조절이잘 안되기 때문이다. 선(禪) 수행자의지도 아래 스스로의 참여 노력과 의학적인도움으로 노력을 하지 않으면 힘들다고본다.​신끼의 두 종류의 증상을 살펴 본다면 하나는 맑은 영으로써 통찰력이있..

불교공부 2025.03.17

합천 해인사

합천 해인사(海印寺) ​1. 개요해인사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산에 위치한 대표적인 불교 사찰로, 한국 불교 조계종제12교구 본사입니다. 가장 큰 특징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것입니다.​2. 해인사의 역사창건 연도: 신라 헌덕왕 3년(802년)창건자: 순응(順應)과 이정(利貞) 두 스님설립 배경: 신라 헌덕왕이 왕비의 병을 고쳐준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지원하여 건립됨.유래: 불교 경전인 ‘화엄경’에 나오는 ‘해인삼매(海印三昧), 맑은 바다에 달이 비치듯 깨달음이 드러난다)’에서 유래.3. 주요 볼거리팔만대장경과 장경판전(藏經板殿)팔만대장경(고려대장경): 총 81,258판의 경판으로 이루어짐.세계에서 가장 완벽한 불교 경전으로 평가됨.고려 시대 몽골..

불교공부 2025.03.09

하동 쌍계사

쌍계사는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위치한 천년 고찰로, 신라 시대에 창건된 유서 깊은사찰입니다. 특히 봄철 벚꽃길과 가을 단풍길로유명하며, 다도(茶道)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는 명소입니다. 1. 기본 정보주소: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전화번호: 055-883-1901운영시간: 08:00 ~ 18:00입장료: 성인 3,000원 / 청소년 1,500원 / 어린이 1,000원주차: 가능 (유료 주차장 운영)​2. 역사 및 특징창건 연도: 신라 성덕왕 21년(722년)창건 배경: 삼법(三法) 스님과 대비(大悲) 스님이 중국에서 육조 혜능(慧能) 스님의 진신사리를가져와 모시면서 창건​중요 문화재 국보 47호: 진감선사 대공탑비보물 500호: 쌍계사 팔상전보물 1365호: 쌍계사 동종(범종)보물 137..

불교공부 2025.03.08

의상조사법성게(義湘祖師 法性偈)

우보익생만허공(雨寶益生滿虛空)중생수기득이익(衆生隨器得利益)보물이 허공에서 비 오듯이 많이와도중생이 받을 수 있는 것은 자기 그릇만큼만 받는다.자기 그릇을 크게 만들지 않고돈벼락을 맞기 바라면 안 된다.​⭐원화소복(遠禍召福) 화를 멀리하고 복을 가까이 하라🍀내가 하는 일을 사랑하라🍀적당히 벌은 돈을 소중히 관리하라🍀성실, 덕망, 좋은 사람을 만나라🍀분수에 맞게 생활하라​⭐삼복전(三福田)1. 보은복전(報恩福田): 나의 주변 부모, 부부, 형제, 스승, 가까운 중생들에게 좋은 말과 복을 짓는다. 2. 공덕복전(功德福田): 불, 법, 승 삼보에 심는 복​3. 빈궁복전(貧窮福田): 가난하고 방황하는 사람들에게 복을 짓는다.​~좋은 날 아침 산책하며 知尙~

불교공부 2025.02.08

참선으로 수행하라

신끼가 있는 사람은 두 종류가 있다.모든 사람에게는 영(靈)이 있다.하나는 '신끼' 또는 '靈'이라고도 하고 또 다른 하나의 신끼는 '마장(魔障)'이라고 한다. 마장이 끼면 인생을망친다. 그 신끼를 좋게 다스리기 위하여 참선(參禪)을 하여야 한다. 참선에서 '선'이란 용어의 원류는 팔리어로 'Jhana', 범어로 'Dhyana'이다.혼란한 마음을 고요하게 한다는 선정(禪定)의 의미이다. 그러나 그런 바른 마음은 누구에게나 뜻하는 데로 주어지지 않는다. 선업(善業)에 따라 또는 타고난 근기(根機)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조절이잘 안되기 때문이다. 선(禪) 수행자의 지도 아래 스스로의 참여 노력과 의학적인 도움으로 노력을 하지 않으면 힘들다고 본다. 두 종류의 증상을 살펴본다면​하나는 맑은 영으로써 통찰력이있고..

불교공부 2025.02.04

윤회

불교에서 윤회라는 것은 죽고 다시태어나는 것이 윤회가 아니고 살면서 苦와 樂이 되풀이되고 반복되는 것이 바로 윤회이다. ​자신이 괴로움에서 벗어나고자 한다면욕망에 반응을 안 하면 괴로움도 즐거움도일어나지 않으니 이것이 바로 해탈이다.해탈은 일반적이지 않지만 욕망으로부터자유로워지는 경지에 이르면 두려움도 어려움도 없을 것이다.​괴로움이란 기도해서 신이 도와서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스스로 자신의 어리석고 모르는 부분을 깨닫는 것이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길이다. 행복과 불행은 결국스스로의 생각에서 비롯된 생활습관과 자신의 선택에 달렸다. ​욕망이 있으면 성취했을 때 행복을느끼지만 더 큰 욕망으로 마음이 더 커지게 되고 욕망의 끝은 없으므로 결국만족이 없게 되며 욕망의 끝은 불행이다.사람이 살아가면서 마음공부를 ..

불교공부 2025.02.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