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2 57

눈은 마음의 창

"눈은 마음의 창"이라는 말이 있다.악한 마음과 이중적인 마음을가진 사람이 상대방을 이용하려고 다가올 때 인상 쓰면서 다가올까 웃으며 다가올까? 눈과 입은 인위적으로 웃을 수 있지만눈동자는 그렇지 못하다.그래서 자신의 마음을 감추고 싶을 때선글라스를 끼고 싶어 하기도 한다.고양이의 눈을 보면 모든 감정의 변화를 쉽게 알 수 있다.​ ☆역술가 지상☆

소소한 일상 2025.02.03

<맹자 / 고자하 15장>

天將降大任於是人也천장강대임어시인야必先苦基心志 필선고기심지勞其筋骨 노기근골餓其體膚 아기체부空乏其身 공핍기신行拂亂其所爲 행불란기소위是故動心忍性 시고동심인성增益其所不能 증익기소불능​​하늘이 장차 이 사람에게 큰일을맡기려 할 때에는 반드시 먼저 그 마음과 뜻을 흔들어 고통으로 지치게만들고, 뼈마디가 꺾어지는 고난을 당하게 하며, 그 몸을 곤궁하게 하고, 그 생활을 빈궁에 빠뜨려하는 하는일 마다 어지럽게 하느니라. 이는 그의 마음을 두들겨서 참을성을 길러주고 지금까지할 수 없었던 일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식과 지식 2025.02.03

노자의 도덕경

노자의 은 비움의 미학을다루고 있다. 총 81장 5천여 자로구성되어 있다.노자의 사상 도덕경은 도위부쟁(道爲不爭) 道란 다투지 않는 것 평화와 자연을 닮은 것 자연은 無爲하고 다투지 않는다.도덕경은 성경(聖經) 불경(佛經)과함께 인류의 정신문화를 대표하는3대 經典으로 불릴만 하다.​자연을 닮으면 다툴 일이 없다.(평화)싫은 내색 없이 받아들인다(덕망)상대에게 예의를 갖춘다(품격)성내지 않고 싸우지 않는다(침착)복잡한 마음을 내려놓는다(비움)성패에 연연해 하지 않는다(의연)오십에 돌아보니 그만하면 잘살았다(격려)어려울수록 근본을 돌아본다(기본)간소한 삶의 원칙(절제)나를 알기에 밝고 나를 이기면강하다(극기)​노자는 우주만물을 하나로 연결된통합체로 인식한다.노자의 도덕경은 삶의 지혜이다.

상식과 지식 2025.02.03

수상학(手相學)

손금은 3천여 년 전 인도에서 발생하여 지중해를 통해 그리스에 전파되었다.그 후 이태리 반도의 로마를 거쳐유럽 전역으로 확산, 오늘날 미국으로전수되어 활성화 되었다는 것이다수설로 되어 있다.​인도 수상학(手相學)은 역사적으로 볼 때 브라만 교사들에 의해서 주로 연구되었고 오늘날 인도의각 지역에서 발굴된 고대 동굴에서손금이라 할 수 있는 손바닥 주름과관련된 그림과 문자 기록이 발견되는것으로 기원을 유추하고 있다.​동양의 경우는 인도에서 발달한수상학이 중국으로 건너와 송나라건국 초기 달마대사에게 전해졌고,달마대사의 수상법이 동양 수상학의원조가 되었다고 보고 있다. 중국의 수상학은 당나라와 청나라시대에 본격화 되었다.​손금은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서, 즉 손의 운동에 의해서 생겨난다.우주의 충만한 초월력은 인..

철학 2025.02.02

무지에서 벗어나는 깨달음

공부를 잘해서 좋은 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끊임없이 공부를 하여도원망과 불행한 마음으로 사는 사람은지식은 있어도 지혜가 부족한 무지한것에 원인이 있다.​무지는 무명(無明)에서 비롯하는데無明이란 불교에서 말하는 무아(無我)의 진리를 깨닫지 못하고 자아가 있다고 집착하는 무지의 상태를말한다. 원인은 자신에게 있음을깨달아야 한다.​◇역술가 지상◇

철학 2025.02.02

윤회

불교에서 윤회라는 것은 죽고 다시태어나는 것이 윤회가 아니고 살면서 苦와 樂이 되풀이되고 반복되는 것이 바로 윤회이다. ​자신이 괴로움에서 벗어나고자 한다면욕망에 반응을 안 하면 괴로움도 즐거움도일어나지 않으니 이것이 바로 해탈이다.해탈은 일반적이지 않지만 욕망으로부터자유로워지는 경지에 이르면 두려움도 어려움도 없을 것이다.​괴로움이란 기도해서 신이 도와서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스스로 자신의 어리석고 모르는 부분을 깨닫는 것이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길이다. 행복과 불행은 결국스스로의 생각에서 비롯된 생활습관과 자신의 선택에 달렸다. ​욕망이 있으면 성취했을 때 행복을느끼지만 더 큰 욕망으로 마음이 더 커지게 되고 욕망의 끝은 없으므로 결국만족이 없게 되며 욕망의 끝은 불행이다.사람이 살아가면서 마음공부를 ..

불교공부 2025.02.02
반응형